Obsidian/Obsidian 사용법

[옵시디언] 1초만에 표 만들기! Advanced Tables 플러그인 사용법

WooJi 2024. 9. 4. 23:46
반응형

안녕하세요!

Wooji입니다.

옵시디언을 사용하는데 표 관련 업무가 조금 복잡하죠.

그래서 오늘은 표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.

표를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기본 표 만드는 방법과 Advanced Tables 사용법을 알아봅시다.


1. 기본 커맨드로 표 만들기

따로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커맨드 창에서 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ctrl+p로 커맨드 창을 열어주고 insert table을 실행해 보면 아래처럼 2 ×2 표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부가기능

 

1. 표의 맨 오른쪽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add column after 가 나타납니다. 누르면 오른쪽으로 column이 하나 추가됩니다

2. 표의 맨 밑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add row after가 나타납니다. 누르면 밑에 row가 하나 더 생깁니다.

3. 표의 맨 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column 별로 점 6개가 나타나는데요. 누르고 옆으로 옮기면 column이 바뀝니다.


2. Advanced Tables 플러그인 사용하기

아마도 기본 표 만드는 방법은 row와 column을 만드는 것 이외에는 하지 못해 초보자분들이 답답해할 것이라 생각됩니다.

Advanced Tables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다른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 

우선 설정>커뮤니티 플러그인> 탐색> Advanced Tables 검색> 설치> 활성화까지 해주시고 다른 건 건들 필요 없습니다.

활성화가 되었다면 마크다운 형식으로 표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

엔터 위에 있는 | 를 사용할 건데요.

| 제목 | 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마크다운 형식의 표가 형성됩니다.

 

생겨난 공간에 내용을 적고 엔터를 누르면 자동으로 row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만약 column을 추가하고 싶다면 제목을 적을 때나 내용을 적을 때, 탭을 누르시면 column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나타납니다. 애초에 제목 칸을 여러 개 적고 엔터를 누르면 열의 개수만큼 표가 만들어집니다. 

 

#오류 해결하기!

탭을 눌렀는데 가끔 표가 생기지 않고 들여쓰기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이런 경우에는 아래 글을 보시면 해결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!

 

 

[옵시디언] advanced table tab키 오류 1초만에 해결하기!

안녕하세요! Wooji입니다. 메모장으로 옵시디언을 사용하고 있는데 처음 다루는 마크다운 기반이라 그런지 어렵습니다.오늘도 사용하다가 원하는 대로 안돼서 찾아보느라 힘들었네요. 그럼 본

aaaaaaaaaaayowooji.tistory.com

 

만들어진 마크다운 표를 제대로 된 표로 보기 위해서는 읽기 모드나 라이브 미리 보기 모드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.

아래 사진에서 오른쪽 하단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누르시면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설정> 단축키에서도 '라이브 미리 보기/소스 모드 전환'와 '편집/미리 보기 모드 전환'의 단축키를 지정해서 사용해도 좋습니다.

 

해서 모드를 바꿔보면 제대로 된 표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Advanced Tables 플러그인에는 왼쪽, 가운데, 오른쪽 정렬 기능, 행,열 추가, 제거 기능,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과 같은 부가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. 

좌측 세로 바에 작게 표 모양이 나타나는 것을 보실 수 있을텐데 이를 눌러보면 오른쪽에 advanced tables editor가 나타나고 여기에서 원하는 기능을 찾아 사용하시면 됩니다.


3. Sheet Extended 플러그인

추가적으로 Advanced Tables에서는 셀 병합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Sheet Extended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병합도 할 수 있습니다. 

 

셀 병합은 <,>,^ 를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. 

 

꺽쇠를 넣는 방향으로 셀 병합이 이루어지는데요. 따라서 해보시고 개인적으로 몇 번 사용하면서 익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!

 

반응형